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33)
[패스트캠퍼스 수강 후기] {자바 인강} 100% 환급 챌린지 {14} 회차 미션 1. 다운 캐스팅과 instanceof instanceof란? - 객체 타입을 확인하는데 사용한다. 속성은 이항연산자이고 형변환 가능여부를 가능하면 true 불가능하면 false로 리턴해준다. 주로 상속 관계에서 부모객체인지 자식객체인지 확인하는데 사용한다. ※ 주의할점 ( 뒤에 나오는 예제를 통해 확인 할 수 있다. ) // 주의할점은 조건문의 순서는 가장 최하위 클래스 부터 작성해야한다. // 그이유는 최상위 클래스를 맨위에 적어버린다면 첫번째 조건문에서 true를 만족하기때문에 첫번째 조건만을 수행한다. /** * instanceof : 객체 타입을 확인하는데 사용한다. 속성은 이항연산자이고 형변환 가능여부를 가능하면 true 불가능하면 false로 리턴해준다. * 주로 상속 관계에서 부모객체인지 ..
[패스트캠퍼스 수강 후기] {자바 인강} 100% 환급 챌린지 {13} 회차 미션 1. 다형성(ploymorphism) 다형성은 자바에서 매우 중요한 개념이다. 하지만 다형성 자체가 어렵다거나 새로운 기법에 대한 내용은 아니다. 이전에 알아본 (추상) 클래스 상속, 인터페이스 구현, 레퍼런스 형변환(업캐스팅), 오버라이딩 등 많은 내용들을 이용하여 프로그램을 효율적으로 만들 수 있는 방법이다. 따라서 앞에서 알아본 내용들에 대한 개념의 충분한 이해가 있다면 쉽게 이해가 가능하다. 이전 내용들을 잘 모르겠다면 위의 링크된 페이지에서 확인 후 밑의 내용을 보는 것이 좋다. 다형성(Polymorphism) 다형성이란 같은 자료형에 여러 가지 객체를 대입하여 다양한 결과를 얻어내는 성질을 의미한다. 다형성의 효과 하나의 타입으로 다양한 실행 결과를 얻을 수 있으며 객체를 부품화하여 유지 보수..
[패스트캠퍼스 수강 후기] {자바 인강} 100% 환급 챌린지 {12} 회차 미션 1. 하위 클래스가 생성되는 과정 캐스팅이란 무엇일까? 캐스팅(casting)이란 타입을 변환하는 것을 말하며 형변환이라고도 한다. 자바의 상속 관계에 있는 부모와 자식 클래스 간에는 서로 간의 형변환이 가능하다. 이번 글에서는 자식 클래스가 부모 클래스의 타입으로 캐스팅되는 업캐스팅과 반대로 부모 클래스가 자식 클래스의 타입으로 캐스팅되는 다운캐스팅에 대해서 알아본다. 시작하기에 앞서 부모 클래스인 상속 관계의 상위 클래스를 수퍼 클래스, 그리고 자식 클래스인 하위 클래스를 서브 클래스라고 정의한다. 업캐스팅 자바에서 서브 클래스는 수퍼 클래스의 모든 특성을 상속받는다. 그렇기 때문에 서브 클래스는 수퍼 클래스로 취급될 수 있다. 여기서 업캐스팅(Upcasting)이란 서브 클래스의 객체가 수퍼 클래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