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패스트캠퍼스 환급 챌린지

[패스트캠퍼스 수강 후기] {자바 인강} 100% 환급 챌린지 {3} 회차 미션

1. 실수

실수는 double 자료형이 기본이고 float를 사용할 때는 f,F를 식별자로 사용한다.

부동소수점의 오차

 

부동 소수점 방식의 오차

부동 소수점 방식을 사용하면 고정 소수점 방식보다 훨씬 더 많은 범위까지 표현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부동 소수점 방식에 의한 실수의 표현은 항상 오차가 존재한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부동 소수점 방식에서의 오차는 앞서 살펴본 공식에 의해 발생합니다.

이 공식을 사용하면 표현할 수 있는 범위는 늘어나지만, 10진수를 정확하게 표현할 수는 없게 됩니다.

따라서 컴퓨터에서 실수를 표현하는 방법은 정확한 표현이 아닌 언제나 근사치를 표현할 뿐임을 항상 명심해야 합니다.

출처:[tcpschool.com/java/java_datatype_floatingPointNumber]

 

2. 자료형 없이 변수 사용하기

지역 변수 자료형: 추론 변수에 대입되는 값을 보고 컴파일러가 추론

 

3. 상수와 리터럴

상수: 변하지 않는 수

리터럴: 프로그램에서 사용하는 모든 숫자, 값, 논리 값

모든 리터럴은 상수 풀(constant pool)에 저장되어 있음

상수 풀에 저장될 때 정수는 int, 실수는 double로 저장 됨

 

4. 형 변환

서로 다른 자료형의 값이 대입되는 경우 형 변환이 일어남

 

명시적 형변환

 

Chapter 03

연산자: 대입, 부호, 산술, 복합대입, 증감연산자

① 피 연산자의 개수에 따른 연산자의 종류

- 단항연산자 : 피 연산자가 1개인 연산자

- 이항 연산자 : 피 연산자가 2개인 연산자

- 삼항 연산자 : 피 연산자가 3개인 연산자

※참고 : 피 연산자란 연산에 참여하는 변수나 상수

 

② 용도에 따른 연산자 우선 순위

종류 

연산자 

최우선

( ), [ ] 

단항 연산자 

++, --, +, -, (type), !, ~ 

산술 연산자

%, /, *, +, - 

시프트 연산자

>>, <<, >>> 

관계 연산자

<, <=, >, >=, ==, != 

논리 연산자

&, ^, |, ~, &&, || 

삼항 연산자

? : 

대입 연산자 

=, +=, -=, *=, %=, /=, >>=, <<= 

콤마 연산자

출처:[raccoonjy.tistory.com/9]

 

산술연산자

 

관계 연산자 

비교 연산자라고도 하며 우리가 수학시간에 배웠던 부등호를 생각하시면 됩니다. 관계연산자의 결과는 true 혹은 false 값인 boolean 자료형으로 반환이 됩니다. 뒤에서 배울 제어문에서 많이 사용되는 연산자 입니다.

 

 

 

 

 

올인원 패키지 : JAVA 웹 개발 마스터👉https://bit.ly/35aoeA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