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패스트캠퍼스 환급 챌린지

[패스트캠퍼스 수강 후기] {자바 인강} 100% 환급 챌린지 {11} 회차 미션

1. 다차원 배열

다중배열

다중배열도 어렵지 않습니다. 다중배열은 두 줄 이상 줄서기를 하는 놈입니다. 

이런 식으로 A배열에 두개 이상의 줄이 서있다면 다중배열이라합니다. 위 그림을 코드로 나타내면 이렇게됩니다.

1

int A[][] = new int [2][10];

cs

그렇습니다. 앞에 있는 대괄호 안에 숫자 2는 줄의 갯수를 의미합니다. 그리고 뒤에 있는 대괄호의 숫자는 줄의 크기를 의미하죠. 그러니까 두줄로 줄을 서는데 한줄에 최대 10개씩 설 수 있다 라는 의미입니다. 그러면 int A[][][] = new int [2][2][2] 는 어떻게 구성이 될지 감이 오실까요? 안오시겠지만 한번 생각해보세요. 별거없습니다. 생각해보시고 모르시겠다면 댓글 남겨주세요 ^^ 3차원이상의 다중배열은 다루지않겠습니다. 잘 안쓰니까요^^; 그러나 한번쯤 생각은 해볼필요가 있습니다. 

다중배열에서도 저장방식이 중요한데, 단일차원배열과 별다를게없습니다. 처음 선언할때 각각의 줄의 시작주소를 기억하여 원하는 값을 가져오는거지요.



출처: https://commin.tistory.com/53

 

[초급 JAVA]자바 배열 (단일차원배열/다중배열/이중배열) - 선언 & 초기화

자바 배열 (단일차원배열/다중배열/이중배열) - 선언 & 초기화 By Commin .September 28, 2016 Programming ArrayExam.java package array; public class ExamArray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 { //..

commin.tistory.com

2. ArrayList 클래스

 ArrayList 사용법 

ArrayList 선언

ArrayList list = new ArrayList();//타입 미설정 Object로 선언된다. ArrayList<Student> members = new ArrayList<Student>();//타입설정 Student객체만 사용가능 ArrayList<Integer> num = new ArrayList<Integer>();//타입설정 int타입만 사용가능 ArrayList<Integer> num2 = new ArrayList<>();//new에서 타입 파라미터 생략가능 ArrayList<Integer> num3 = new ArrayList<Integer>(10);//초기 용량(capacity)지정 ArrayList<Integer> list2 = new ArrayList<Integer>(Arrays.asList(1,2,3));//생성시 값추가

ArrayList선언시 ArrayList list = new ArrayList()로 선언 후 내부에 임의의 값을 넣고 사용할수도 있지만 이렇게 사용할경우 값을 뽑아내기 위해서는 캐스팅(Casting) 연산이 필요하고 잘못된 타입으로 캐스팅을 한 경우에는 에러가 발생하기에 위와 같은 방식은 추천하지 않습니다. ArrayList를 사용할시에는 ArrayList에 타입을 명시해주는것이 좋습니다. JDK 5.0이후부터 자료형의 안정성을 위해 제너릭스(Generics)라는 개념이 도입되었습니다. ArrayLIst<String> list = new ArrayList<String>(); 이라고 되어있다면 String객체들만 add되어질수있고 다른 타입의 객체는 사용이 불가능합니다

[Java] 래퍼 클래스(Wrapper Class)란 무엇인가? (박싱, 언박싱)

 

[Java] 래퍼 클래스(Wrapper Class)란 무엇인가? (박싱, 언박싱)

 래퍼 클래스란(Wrapper Class)? 자바의 자료형은 크게 기본 타입(primitive type)과 참조 타입(reference type)으로 나누어집니다. 대표적으로 기본 타입은 char, int, float, double, boolean 등이 있고 참조..

coding-factory.tistory.com

ArrayList 값 추가

ArrayList<Integer> list = new ArrayList<Integer>(); list.add(3); //값 추가 list.add(null); //null값도 add가능 list.add(1,10); //index 1뒤에 10 삽입 ArrayList<Student> members = new ArrayList<Student>(); Student student = new Student(name,age); members.add(student); members.add(new Member("홍길동",15));

ArrayList에 값을 추가하려면 ArrayList의 add(index, value) 메소드를 사용하면 됩니다. index를 생략하면 ArrayList 맨 뒤에 데이터가 추가되며 index중간에 값을 추가하면 해당 인덱스부터 마지막 인덱스까지 모두 1씩 뒤로 밀려납니다. 

ArrayList 값 삭제

ArrayList<Integer> list = new ArrayList<Integer>(Arrays.asList(1,2,3)); list.remove(1); //index 1 제거 list.clear(); //모든 값 제거

ArrayList에 값을 제거하려면 ArrayList의 remove(index) 메소드를 사용하면 됩니다. remove()함수를 사용하여 특정 인덱스의 객체를 제거하면 바로 뒤 인덱스부터 마지막 인덱스까지 모두 앞으로 1씩 당겨집니다. 모든 값을 제거하려면 clear() 메소드를 사용하면 됩니다.

 

ArrayList 크기 구하기

ArrayList<Integer> list = new ArrayList<Integer>(Arrays.asList(1,2,3)); System.out.println(list.size()); //list 크기 : 3

ArrayList의 크기를 구하려면 ArrayList의 size() 메소드를 사용하면 됩니다.

 

ArrayList 값 출력

ArrayList<Integer> list = new ArrayList<Integer>(Arrays.asList(1,2,3)); System.out.println(list.get(0));//0번째 index 출력 for(Integer i : list) { //for문을 통한 전체출력 System.out.println(i); } Iterator iter = list.iterator(); //Iterator 선언 while(iter.hasNext()){//다음값이 있는지 체크 System.out.println(iter.next()); //값 출력 }

ArrayList의 get(index) 메소드를 사용하면 ArrayList의 원하는 index의 값이 리턴됩니다. 전체출력은 대부분 for문을 통해서 출력을하고 Iterator를 사용해서 출력을 할수도 있습니다.

 

ArrayList 값 검색

ArrayList<Integer> list = new ArrayList<Integer>(Arrays.asList(1,2,3)); System.out.println(list.contains(1)); //list에 1이 있는지 검색 : true System.out.println(list.indexOf(1)); //1이 있는 index반환 없으면 -1

ArrayList에서 찾고자 하는 값을 검색하려면 ArrayList의 contains(value) 메소드를 사용하면 됩니다. 만약 값이 있다면 true가 리턴되고 값이 없다면 false가 리턴됩니다. 값을 있는 index를 찾으려면 indexOf(value) 메소드를 사용하면 되고 만약 값이 없다면 -1을 리턴합니다.

 

 

 

 

 

 

 

올인원 패키지 : JAVA 웹 개발 마스터👉https://bit.ly/35aoeA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