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클립스 핫키********************
이클립스 자동정렬
- 소스의 정렬이 엉망일 경우 단축키를 사용하여
- 한번에 자동 정렬하는 방법입니다.
- 이클립스 자동정렬 단축키
- Ctrl + SHIFT+ F.
- Ctrl + Shift+ F 키를 동시에 누르면
- 아래와 같이 자동으로 정렬이 됩니다
******************자바 boolean 초기값********************
초기화되지 않은 Boolean 멤버 (실제로 유형의 객체에 대한 참조 Boolean )의 기본값은 null 입니다. 초기화되지 않은 boolean (primitive) 멤버의 기본값은 false 입니다. 기본의 기본값 boolean 은 false 입니다.
1. this 의 역할
this를 사용하면, 메서드의 인수나 변수에 필드와 같은 이름을 붙여도 그것들을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this는 주로 생성자와 메소드의 매개변수 이름이 필드와 동일한 경우, 인스턴스 멤버인 필드임을 명시하고자 할때 사용됩니다.public class People{ //필드 int age; //메소드 void setAge(int age){ this.age = age; } }
위와 같이 인자값의 변수명과 필드의 변수명이 같아도 this를 활용하면 같이 사용이 가능합니다. 위의 코드를 예로 들자면 this.age는 필드인 age를 의미합니다. 즉, this의 뒤의 변수명은 인수가 아닌 멤버변수(필드)를 의미하는 것이 됩니다.
출처:coding-factory.tistory.com/523
[Java] 자바 this의 의미와 사용법
People클래스에 Age필드와 setAge( ) 메소드가 다음과 같이 선언되어 있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public class People{ //필드 int age; //메소드 void setAge(int a){ age = a; } } 위와같이 age에 외부의 값을 입..
coding-factory.tistory.com
2. 객체 간 협력
객체 지향 프로그램은 객체를 정의 하고 객체간의 협력을 구현한 프로그램
3. 정보 은닉
1. 캡슐화(encapsulation)
캡슐화란 데이터(속성)과 데이터를 처리하는 함수를 하나로 묶는것이다.
다시말해 객체 외부에서는 개체 내부 정보를 직접 접근하거나 조작할 수 없고, 외부에서 접근할 수 있도록 정의된 오퍼레이션을 통해서만 관련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다.(게터, 세터)
캡슐화의 장점은 객체의 세부내용이 외부에 은폐(정보은닉)되어, 변경이 발생할 때 오류발생이 적으며 재사용이 용이하다.
다시말해 객체들 간의 메시지를 주고 받을 때 각 객체의 세부 내용은 알 필요가 없으므로 인터페이스가 간결해지고, 객체간의 결합도가 낮아진다.
2. 정보 은닉(Information Hiding)
정보 은닉 이란 캡슐화에서 가장 중요한 장점이다.
다른 객체에게 자신의 정보를 숨기고 자신의 연산만을 통하여 접근을 허용하는 것.
- 외부 객체가 특정 객체의 데이터화 함수를 직접 접근하여 사용하거나 변경하지 못하므로 유지보수와 소프트 웨어 확장 시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음.
캡슐화를 통한 '정보의 은폐(information hiding)'의 장점
- 객체에 포함된 정보의 손상과 오용을 막을 수 있다.
- 객체 내부의조작 방법이 바뀌어도 사용방법은 바뀌지 않는다.
- 데이터가 바뀌어도 다른 객체에 영향을 주지 않아 독립성이 유지.
- 처리된 결과만 사용하므로 객체의 이식성이 좋다.
- 객체를 부품화 할 수 있어 새로운 시스템의 구성에 부품처럼 사용 할 수 있다.
출처: https://slowlywalk1993.tistory.com/entry/Java-자바객체지향개념-캡슐화-정보은닉slowlywalk1993.tistory.com/entry/Java-%EC%9E%90%EB%B0%94%EA%B0%9D%EC%B2%B4%EC%A7%80%ED%96%A5%EA%B0%9C%EB%85%90-%EC%BA%A1%EC%8A%90%ED%99%94-%EC%A0%95%EB%B3%B4%EC%9D%80%EB%8B%89
[Java] 자바객체지향개념 캡슐화, 정보은닉
1. 캡슐화(encapsulation) 캡슐화란 데이터(속성)과 데이터를 처리하는 함수를 하나로 묶는것이다. 다시말해 객체 외부에서는 개체 내부 정보를 직접 접근하거나 조작할 수 없고, 외부에서 접근할 수
slowlywalk1993.tistory.com
올인원 패키지 : JAVA 웹 개발 마스터👉https://bit.ly/35aoeAW
'패스트캠퍼스 환급 챌린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패스트캠퍼스 수강 후기] {자바 인강} 100% 환급 챌린지 {10} 회차 미션 (0) | 2020.11.11 |
---|---|
[패스트캠퍼스 수강 후기] {자바 인강} 100% 환급 챌린지 {9} 회차 미션 (0) | 2020.11.10 |
[패스트캠퍼스 수강 후기] {자바 인강} 100% 환급 챌린지 {7} 회차 미션 (1) | 2020.11.08 |
[패스트캠퍼스 수강 후기] {자바 인강} 100% 환급 챌린지 {6} 회차 미션 (0) | 2020.11.07 |
[패스트캠퍼스 수강 후기] {자바 인강} 100% 환급 챌린지 {5} 회차 미션 (0) | 2020.11.06 |